본문 바로가기
사업지원정보

'월 70만원 5년 부으면 5000만원'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 방법

by 츄리릿 2022. 10. 28.
728x90
반응형

 

 

요즘 청년들이 미래를 위한 저축을 많이 알아보는데요~

 

 

 

개인소득 연 6000만 원·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만 19~34세 청년을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 정책이 통과되었다고 합니다~

 

26일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청년정책 추진계획'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청년도약계좌를 내년 출시·운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5년 만기로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하도록 돕는 금융상품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출시된 정책형 금융상품 '청년희망적금'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와 정부의 기여 비율

  고정 정부기여 본인기여 한도 저축비례
정부기여한도
본인+정부
연 소득 2,400 이하 20 30 20 70
연 소득 3,600 이하 0 50 20 70
연 소득 4,800 이하 0 60 10 70
연 소득 4,800 초과 0 70 0 70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구간은 2022년 시행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구소득 및 재산기준 적용

- 연소득 2,400만원 이상 구간에도 가구소득 및 재산기준 적용

-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구간에는 납입액의 일부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제공

 

월 40만~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3~6%를 보태주는 방식으로 본인 납입액과 정부 기여금에 은행 이자가 적용되며 이자 소득은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개인소득이 연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이 가입 대상입니다. 정부는 가입 대상 연령의 30% 정도인 306만 명이 가입할 것으로 보이며월 70만 원을 납입하고, 정부 기여금과 은행 이자가 적용되면 5년 동안 5000만 원가량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입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2022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가입시기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예정은 2023년인 내년 하반기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해당 희망시기에 맞춰서 뉴스 혹은 기사들이 뿌려질 예정입니다.

 

내년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를 지원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2023년 예산으로 352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금융위는 서민금융진흥원에 정부기여금 및 시스템 구축·유지에 관한 출연금을 지급하는 형식으로 청년도약계좌를 지원할 계획이며 청년도약계좌가 10년간 운영되는 대규모 재정지출사업인 만큼 사업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청년도약계좌가 다른 청년자산형성 상품과 달리 청년지원 정책과의 연계성이 낮아 예상 투입 효과가 저조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 예산분석관은 "청년도약계좌의 정책목표는 청년층의 자산형성·목돈마련이라는 점에서 다른 정책들과 차이가 있으며 정부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삼아야 하는 청년의 주거 및 생활 보장, 고용 촉진 등과의 연계성이 낮아 재정투입의 효과성이 타 사업에 비해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새로운 정책이 실행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는데요~

이럴때 일수록 차근차근 살펴보고 챙겨갈 수 있는것을 챙겨가시길 바라겠습니다.

 

 

2022.10.26 - [청년지원정보] - 2023 청년도약적금 제대로 알아보기!!! (변경 사항은?)

728x90
반응형

댓글